인찬옥

                                                                                                                                                                                                                                                           

?∼1907(순종 융희 1년). 춘천 사내면(史內面, 현 화천군 사내면)의 유생이다. 1907년 7월 고종황제의 강제퇴위와 정미7조약, 그리고 동년 8월 한국군대의 해산 등으로 정미의병이 일어날 당시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사외면(현 사북면)의 면장 황기운(黃基雲)과 한중삼(韓重三)·이인환(李寅桓) 등과 모의하여 스스로 결사대의 총대장이 되어 이용규(李容圭)·김제현(金齊鉉)과 같이 격문을 배부하고 의병을 모집하다가 일본경찰 보조원에게 탐지되어 체포되었다. 그후 1907년 10월 경성(서울)으로 호송되는 도중에 탈출하려다가 피살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토론댓글을 입력하세요.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