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군

                                                                                                                                                                                                                                                           

화천군의 읍

화천읍

화천군의 면

사내면   간동면   하남면   상서면

1.개요

화천군에는 동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북한강이 있습니다. 북한강에 건설된 화천댐으로 인해 파로호가 생겼는데 이 댐으로 인해 많은 지역이 물에 잠겨서 화천군에는 평야지역이 거의 없습니다. 화천군에는 해발 1,000m 내외의 산이 많이 있으며, 동쪽은 양구군, 서쪽은 철원군과 경기도 포천시·가평군, 남쪽은 춘천시, 북쪽은 철원군과 접하고 있습니다. 화천군의 면적은 908.66로 철원군보다는 19넓고, 서울특별시 전체 면적보다 1.5배 더 넓습니다.

 



2.화천군의상징

2.1.화천군기 및 캐릭터


시원하게 퍼져나가는 물방울의 이미지는 화천의 핵심자원인 '물'에서 추출한 것으로 정보화와 차원 높은 복지 실현을 뜻한다. 크게 날아오르는 새의 이미지와 눈부시게 흩어지는 물방울의 이미지를 조합해 화천의 한글 이니셜 'ㅎ'으로 형상화[1]했다.




화천군을 상징하는 캐릭터는 '산이와진이'이다. 우리군의 상징 꽃인 진달래를 귀엽고 깜찍한 남매요정으로 아름다운 자연화천을 의인화[2] 하면서 더불어 산자수려[3]한 자연경관을 가꾸어 지켜가는 화천군민으로 평화와 안보의 소중함을 전파하는 도우미로서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화천의 수달, 연꽃, 산천어와 맑은 물도 보조 캐릭터로 탄생했다.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능력을 지닌 '달이'는 화천의 자연을 지키는 파수꾼이자 환경 화천의 홍보대사로 생명과 대지의 창조, 풍요와 행운, 번영과 장수를 상징하며 환경적으로 자정력을 가진 '연이'는 인간과 자연에게 이로움을 주는 도우미로 '물이'는 쪽빛맑은 물의 고장 화천의 상징물로 '천이'는 화천의 산천어이자 레저와 축제, 관광의 으뜸군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착하고 귀여운 요정으로 활약하게 된다.

2.2.화천군의 상징물

군의 나무


층층나무

푸른산이 우거져 있는 화천이미지 부각[4], 무궁히 성장 · 발전하는 군민의 기상을 상징한다.


 

군의 꽃


진달래

군민의 화합과 단결을 상징하며, 군민의 근면함과 강인성을 표상한다.
 

군의 새


꾀꼬리

산자수명한 화천의 이미지 부각하며, 수욕[5]을 즐기는 새의 특성은 푸른 산 맑은 물 가운데 거주하는 군민을 표상한다.




 

3.인구

3.1.인구추이

2022년 기준(자료갱신일: 2022.05) / 단위 : 명
24,029총 인구수
13,004인구(남)
11,025인구(여)

3.2. 출산, 고령화 현황

출생인구

기준년도 출생아수(명) 조출생률(1년간의 출생아수를 당해년도 총인구수로 나눈 것)
2011 256 10.5
2015 267 9.9
2016 221 8.4
2017 199 7.7
2018 202 8.0
2019 195 7.9
2020 150 6.1
 

고령인구

기준년도 65세 이상 고령인구(명) 고령화율(%)
2012 4,510 18.1
2015 4,821 17.8
2016 4,806 18.3
2017 4,946 19.0
2018 5,064 20.2
2019 5,319 21.3
2020 5,609 22.6

3.3.저출산, 고령화 현황

강원북부접경지역 인구 급감 정부지원 절실(2019.07.21)
[화천]군부대 해체 화천 소규모학교 존폐 위기(2019.07.22.)
강원도 인구, 지난 1980년 대비 춘천시 만한 도시 사라져(2019.07.22.)
[화천]화천 간동면 지난해 출생아 단 2명(2021.02.23.)
[사설]접경지 붕괴 위기, 정부의 특별지원이 필요하다(2021.04.23.)

 

4.역사

선사시대
화천 지역에서는 파로호 주변에서 구석기 유적이 발견되었습니다. 하지만 댐이 생겨 물이 잠겨 조사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 외에 고인돌, 돌도끼, 돌화살촉 등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삼국 및 통일신라
화천지역은 예전에 낭천군으로 불렸습니다. 낭천 지방은 원래 백제의 영토였으나 5세기에 들어서면서 고구려의 지배를 받았고, 6세기 중엽부터는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다고 합니다.
 
후삼국 및 고려
신라의 영토였던 낭천 지역은 후삼국 시절 궁예에 의해 후고구려 땅이 되었습니다. 그 후 고려의 영토가 되었고 양구와 함께 성천군(牲川郡)이라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조선 태조 때에 다시 나누어집니다.
 
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낭천현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현감이 파견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남쪽에는 용화선성을 두었고 소양강창이라는 기관에 소속되어 물길로 사람이나 물건이 다니기도 하였습니다.
 
임진왜란(1592) 때에는 방어사 원호가 춘천에서 왜병을 크게 무찌르자, 포위된 왜병은 낭천·김화 등지로 도주하였습니다. 이에 원호는 적을 추격하여 끝까지 싸우다 장렬히 전사하였는데. 계성산의 장군사, 장군봉에 얽힌 전설은 이 때의 사실을 전하는 것으로 이 지역에서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세종실록지리지(15세기)에 나타난 낭천현의 가구 수는 264호였고, 인구는 750명이었습니다. 1760여지도서에 집계된 낭천현의 가구 수는 2,067, 인구는 7,119명이었습니다. 그 후 관동지1829~1831) 관동읍지(1871)에 조사된 가구 수는 2,217, 인구는 8,467명이었습니다.
 
.현대
고종 32(1895) 낭천은 춘천부 소속 13개군의 하나가 되었다가 이듬해에 낭천군은 강원도 소속이 되었습니다. 광무 6(1902)에는 화천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용화산의 높고 아름다움을 본받고자한 뜻이었다고 합니다.

 

 

4.1.화천군의 행정구역 변천

생천군, 야시매(牲川郡, 고구려) → 낭천(狼川, 통일신라) → 화천(華川, 1902)

4.1.1.고대~남북국 시대

  • 고 구 려 생천군(牲川郡) 또는 야시매(也尸買) 라 칭함.
  • 685 통일신라 낭천(狼川)으로 개칭
 

4.1.2.고려

  • 995 고려성종14년 삭방도 관할
 

4.1.3.조선

  • 1178 고려명종8년조선 삭방도 폐지, 춘주도(春州道) 설치로 그 관할이 됨.
  • 태종13년 현감설치
  • 조선인조23년 폐현으로 도호부 관할이 됨(지금의 금화) 북현
  • 1902 조선고종39년 화천(華川)으로 개칭
  • 1910 하서면, 남면을 하남면으로, 상면, 서면을 상서면으로 간척면, 원동면을 간동면으로 각각 통폐함.
  • 1918 면사무소 이전 사내면 : 광덕리 → 사창리
 

4.1.4.일제강점기

  • 1910 하서면, 남면을 하남면으로, 상면, 서면을 상서면으로 간척면, 원동면을 간동면으로 각각 통폐함.
  • 1918 면사무소 이전 사내면 : 광덕리 → 사창리
  • 1941 화천댐 건설로 간동면사무소를 구만리에서 유촌리로 이전
  • 1942 간동면 수상리, 수하리, 태산리, 동촌리를 화천면으로 편입
  • 춘천군 관할의 사내면이 광복과 더불어 공산치하의 금화군 관할이 됨
 

4.1.5.대한민국

  • 1954 경기도 포천군 관할이던 사내면이 화천군 관할로 됨
  • 1961 4개리 분할증설(신읍리 → 신읍1.2리, 동촌리→동촌1,2리, 풍산→풍산1,2리, 사창리 → 사창1,2리)
  • 1962 화천면의 동촌1.2리, 신읍1.2리, 풍산1.2리를 동촌리, 신읍리, 풍산리로 통폐합
  • 1968 1개리 증설(봉오리 → 봉오1.2리)
  • 1970 10개리 증설(하리 → 하1.2.3리, 아리 → 아1.2리, 신읍리 → 신읍1.2리, 풍산리 → 풍산1.2리, 오음리 → 오음1.2리,
  • 1979.9 2개리 증설(유촌리 → 유촌1.2리, 간척1.2리 →간척1.2.3리)
  • 1980.7 1개리 증설(다목리 → 다목1.2리)
  • 1985.3 2개리 증설(산양1.2리→산양1.2.3리, 봉오1리→봉오1.3리)
  • 2017.11.16 2실 9과로 기구개편(조례 제2358호)
  • 2017.11 1개리 증설(광덕1,2,3,4리→광덕1,2,3,4,5리)

 

5.자연환경

5.1.지형




화천군은 북쪽에는 철원군, 서쪽에는 경기도 포천시와 가평군, 남쪽으로는 춘천시, 동쪽으로는 양구군에 접해있습니다.
 
화천군은 면적의 86.2%가 산지입니다. 산사면에는 평지를 이루고 있는 곳도 있으나, 해발 1,000M 내외의 산들이 즐비하여 대부분의 땅들이 급경사를 이루고 있습니다.
 
화천에는 북한강이 흐르고 있습니다. 화천 북한강은 남쪽으로 흘러 소양강과 만나 춘천으로 향합니다. 이후 남한강과 합쳐져 한강을 이루고 최종 목적지인 서해로 흐릅니다.
 
화천지방은 한반도 중앙의 산이 많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큽니다.
여름에는 수증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구름이 산을 넘으면서 많은 비를 내리게 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겨울에는 눈이 다른 지역보다는 적게 내립니다.
 
 



출처 : 화천군청

5.2.기후

내륙 산간에 위치하므로 기온 차가 큰 대륙성기후의 성격이 강하다. 연평균기온 9.4℃, 1월 평균기온 -7.2℃, 8월 평균기온 26.4℃, 연강수량 1,064.8mm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화천군 [Hwacheon-gun, 華川郡] (두산백과)


6.중심지

6.1.행정구역

행정구역은 1읍(화천읍) 4면( 사내면,간동면,하남면,상서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6.2.지역의 대표 중심지

화천군청, 군의회, 보건소 등이 자리잡고 있는 화천읍이 화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문화와 상권[6]의 중심지이다. 3,8일마다 열리는 화천5일장이 유명하다.

6.3.지역의 공공기관

화천군청
화천군의회
화천교육지원청
화천군청소년수련관
화천박물관
화천경찰서
화천소방서
화천군 보건의료원


 

7.지역의 교통


강원도 화천군은 철도역이 없는 산간 지역으로, 도로 교통, 특히 시외버스와 농어촌버스가 중심을 이룹니다.
시외버스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한 번 살펴볼까요? 화천에는 화천시외버스터미널이 중심 허브 역할을 합니다. 이곳에서 서울 동서울터미널, 춘천, 철원(동송, 와수리) 등으로 향하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천군 내 각 읍·면을 연결하는 농어촌버스가 운행되고 있습니다. 배차 간격이 긴 노선이 많아 이용 시 시간표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8.지역의 산업

8.1.지역의 발달 산업

강원도 화천군은 산지 지형과 휴전선에 가까운 특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천군 경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관광 산업입니다. 매년 겨울 열리는 화천산천어축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겨울 축제를 넘어 세계적인 축제로 발돋움했습니다. 2025년 축제에는 186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했으며, 이 중 외국인 관광객도 12만 명을 넘어설 정도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습니다. 산천어축제는 얼음낚시뿐만 아니라 맨손잡기, 눈썰매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광객을 유치하며 지역 경제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낳고 있습니다.
화천군은 산천어축제 외에도 쪽배축제, 토마토축제 등 계절별 특색을 살린 축제를 연중 개최하여 관광객의 발길을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파로호, 평화의 댐, 비수구미 계곡 등 청정한 자연을 활용한 생태 관광 자원도 풍부하여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합니다.

 

8.2.지역의 대표 생산품

    


​​
화천군의 대표 특산물로는 깨끗한 물과 맑은 햇살이 빚어 놓은 오대벼를 자연송풍건조[7] 및 저온저장으로 보관 가공한 곡류[8]
물맑고 공기좋은 화천에서 재배 생산된 애호박, 단호박, 오이, 찰토마토 등
심산 유곡[9]에서 생산한 무공해, 알칼리 식품으로 섬유질, 광물질, 비타민 B등이 풍부한 버섯류
강원도 최전방 청정지역에서 사양[10] 관리하여 맛이 뛰어난 축산물
그밖에 더덕, 약도라지, 산양산삼, 화천 잣, 장류 등이 있다.




 

9.지역의 문화관광자원




화천군 화천감성여행
화천군 관광 홈페이지
 

9.1. 화천향교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에 자리한 화천향교(華川鄕校)는 조선시대 지방의 공교육을 담당하던 기관입니다. 주로 공자를 비롯한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인재를 양성하던 곳입니다.
한국전쟁 당시 모든 건물이 불타 없어지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역 유림들의 노력으로 복원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102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화천향교
 

 

9.2. 토속어류생태체험관

구만리 어룡동에 토속어류생태체험관이 있다.
토속어류생태체험관의 1층에는 북한강과 파로호에 살고 있는 70여 종의 다양한 민물어류들을 만날수 있는데 천연기념물인 ‘어름치’, ‘황쏘가리’에서부터 멸종 위기의 물고기들까지 자세한 설명과 소개를 만나볼 수 있다.
2층체험관에는 물고기 눈으로 세상을 보는 체험을 할 수 있으며, 토속어류를 탁본[11]으로 만들기, 물고기 퍼즐맞추기, 물고기 하늘길 등 물고기들의 세상 속으로 들어가는 자연학습코너들이 마련되어 있다.




 

 
 

9.3. 한국수달연구센터

수달은 우리나라에서 1982년 천연기념물 330호, 환경부의 멸종위기종[12] 1등급으로 지정되었다. 수달을 지키는 것이 화천의 자연환경을 지키는 일이며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을 지키는 일이다.

한국수달연구센터




 

 

9.4. 화천생태영상센터

영상문화와 영상산업의 저변[13] 확대를 위해 설립된 종합영상문화 공간이다. 드라마, 에니메이션, 방송제작 프로그램을 체험해 볼 수 있다. 물을 주제로 한 전시관, 물과학관, 생태과학관, 자연생태관, 워터드롭상영관, 영상스튜디오, 물공원 등 생태와 영상미디어가 결합된 자연 친화적인 체험공간들을 마련해 놓고 있다.





 

 
 

9.5. 월하 이태극 문학관

이태극은 1913년 7월 16일 간동면 방천리에서 태어났으며, 국어국문학회 대표를 네차례나 역임한 시조[14] 문학계의 거두이다. 1955년 ‘산딸기’를 발표하면서 문단[15]에 정식으로 등단한 그는 산딸기 외에도 서해상의 낙조, 삼월은, 갈매기, 인간가도 등을 발표하며 활동하였다.

월하 이태극 문학관


 

 
 

9.6. 화천군목재문화체험장

화천 목재문화체험장에서는 산림[16]의 용도를 이해하고, 목재를 이용한 생활소품 제작방법을 익힐 수 있는 공간이다.
화천군목재문화체험장



 

 

9.7. 화천한옥학교

‘한옥’의 재료가되는 ‘나무’와 이 나무가 세워질 ‘터’의 이해를 바탕으로 내 손으로 우리의 전통집 ‘한옥’을 지어보는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화천한옥학교’는 한옥목공 기능인 양성[17]을 통한 우리 문화 계승을 목적으로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을 두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한옥 짓기를 교육한다.

화천한옥학교


 

 

 

9.8. 월남 파병용사 만남의 장

‘월남 파병용사 만남의장’은 파병 당시의 훈련장을 복원해 국군참전 용사들의 용맹함을 널리 알리고 타국에서 숨을 거둔 이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곳이다. 참전기념관, 구찌터널, 베트남 전통가옥, 옛 취사장[18], 추모비, 상징탑, 전술기지, 연병장[19], 야외 전투 장비 전시, 내무반[20]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안보관광지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이곳은 실제 군부대 내무반을 그대로 재현해 놓은 곳에서의 숙박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월남 파병용사 만남의 장
 

 
 

9.9. 파로호 안보전시관

파로호 안보전시관은 6.25 한국전쟁 사상 최고의 전과를 기록한 화천전투의 승리를 기억하기 위해 만든 전시관이다. 전시관 건물 밖 오른쪽에는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21]'이 있고, 왼쪽에는 전쟁에서 희생된 학도병[22]들을 추모하는 ‘자유수호 희생자 위령탑’이 있다..

파로호 안보전시관



 

 
 

9.10. 꺼먹다리

1945년 건설된 ‘꺼먹다리’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축조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교량이다. 대한민국 현대교량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자 등록문화재 제110호로 지정되었다.

꺼먹다리


 


 

 

9.11. 평화의 댐

평화의 댐은 길이 601m, 높이 125m의 콘크리트댐으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댐이다. 최대 저수 용량은 26억3000만㎥으로 소양강댐, 충주댐에 이어 국내 세 번째 규모이며, 그 유역 면적은 3,208k㎥fh 우리나라 서울의 약 5.3배에 해당하는 면적을 빗물을 모아 담을 수 있다.

평화의 댐



 



 

10.지역의 축제

10.1 산천어축제


북한강 상류에 있는 화천군의 청정환경을 산천어와 연결하여 군의 이미지 홍보와 함께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겨울축제로 화천군에서 기획하여 매년 열리는 축제이다. 2000년에 처음 시작한 '낭천[23]얼음축제'를 2003년 새로운 테마와 이름으로 정비하였다. 빙판으로 변한 화천천에서 체험행사와 볼거리로 펼쳐지는 겨울철 이색 테마 체험축제이다.

주요 프로그램은 산천어얼음낚시대회, 창작썰매 콘테스트, 얼음축구대회, 빙상경기대회, 겨울철 레포츠 체험행사로 진행된다.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화천천 낚시대회장에서 열리는 산천어 얼음낚시대회로, 전국에서 많은 낚시꾼들이 모여든다. 초보자도 참가할 수 있고 얼음을 깬 구멍으로 견지낚싯대나 소형 릴낚싯대로 쉽게 산천어를 잡을 수 있어 가족관람객에게도 인기가 있다.

그외 부대행사로 눈썰매 타기, 얼음썰매타기, 눈던지기 경기, 인간투포환경기, 빙판 인간새총, 빙판골프, 빙판골넣기, 인간컬링, 눈사람만들기대회, 사진 콘테스트 등이 다채롭게 펼쳐진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화천산천어축제 [Hwacheon Mountain Trout Festival, 華川山川魚祝祭] (두산백과)

화천산천어축제 13년 연속 '밀리언 페스티벌' 신화(2019.01.14.)"겨울축제 역사 새로 썼다" 화천산천어축제 세계 이목 집중(2019.01.28.)
 

10.2 물의 나라 화천 쪽배축제


<화천 쪽배[24]축제>는 독특한 모양의 배를 제작해 화천 강에 띄우는 이색적인 여름 체험 축제이다. 쪽배축제는 산천어와 수달이 사는 청정 지역 강원도 화천의 깨끗한 자연에서 펼쳐지는 낭만과 추억, 그리고 일탈의 특별한 이벤트가 있는 유쾌한 여름 축제이다. 기발한 상상력의 쪽배콘테스트와 물 위에서 즐기는 수상체험프로그램들. 그리고 힐링과 짜릿함을 선사하는 육상체험프로그램 등 수상(水上)하고 시원한 즐거움이 가득한 여름 체험 프로그램과 함께한다.

물의 나라 화천 쪽배축제 공식홈페이지

 

10.3 화천 토마토축제


화천군과 화천화악산토마토영농조합법인이 2003년부터 주최해   온 축제다. 토마토 축제를 통해 화천 토마토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매년 화천군 사내면 문화마을 도시계획도로 일원에서 개최되며 토마토를 주제로 한 체험과 전시,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화천 토마토축제 공식홈페이지
 

10.4 파로호 겨울축제  


파로호가 내려다 보이는 확트인 행사장에서 송어, 빙어 뜰채 체험 등을 마음껏 즐기다 보면 어느새 시린 추 위는 잊혀지고 따뜻한 동심으로 돌아가게 된다. 파로호 겨울축제는 아이들과 함께 신나는 눈, 얼음썰매를 타며 뛰어 놀 수 있는 화천 유촌리의 소박한 겨울축제이다.   

화천 파로호 겨울축제 공식홈페이지

10.5 DMZ 사방거리 동동축제 

화천의 최북단인 사방거리에서도 매년 1월 독특한 겨울축제가 열린다. DMZ[25] 사방거리 동동축제는 송어얼음낚시, 얼음썰매, 눈썰매, 얼음축구, 스노우카페 등의 프로그램으로 온 가족에게 짜릿한 손맛과 즐겁고 경쾌한 겨울을 선물한다.


DMZ사방거리 동동축제 공식 홈페이지





 

10.6 동심산촌랜드

뜨거운 여름, 토마토 축제로 달구어진 사내면 일대의 열기는 겨울까지 이어진다. 어릴적 누구나 가보았을 시골 동네 냇가를 얼음나라로 변신시키고 산천어를 낚으면서 동심으로 돌아가게 만든다. <잡자! 먹자! 놀자!>로 이어지는 동심산촌랜드는 축제를 넘어서 한겨울 동안 화천 최고 테마파크로의 도약[26]을 표방한다.




 

 
 

10.7 용화축전

화천군 용화축전은 화천군이 6.25전쟁으로 수복[27]된 날인 10월 6일을 기념으로 현재의 화천군 탄생을 축하하고 군민들의 주인의식 함양, 향토문화의 계승 발전을 위해 1983년부터 매년 열리는 종합축제행사이다. 용화축전은 산신제[28]와 각종 민속놀이, 생활체육과 문화예술행사를 개최하며 군민이 하나로 단합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1.지역의 교류

11.1.경제적 교류

화천의 경제적 교류[29] 사례는 관광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화천산천어축제가 글로벌 육성축제로 지정되었으며 10여 년 전부터 일찌감치 눈과 얼음이 없는 동남아시아 관광시장에 주목해 현지 메이저 여행사들과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그 결과 타이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대부분의 동남아시아 여행사들이 화천산천어축제 정규 상품을 판매해오고 있다.
2013년 IFEA(세계축제협회)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열린 축제도시 시상식에서 화천군을 인구 5만 이하 축제도시로 선정한 바 있으며 화천군은 2006년부터 격년제로 열리고 있는 세계겨울도시시장회의(WWCAM)의 주요 회원도시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중국, 캐나다, 미국 등 9개국, 20여 개 겨울도시가 참여하는 WWCAM에서 화천산천어축제는 하얼빈 빙등제, 삿포로 눈 축제, 캐나다 윈터카니발과 함께 세계 4대 겨울축제로 거론된다.
화천산천어축제는 이러한 높은 글로벌 지명도를 바탕으로 세계적 축제들과의 교류도 확대하고 있다. 실제 ‘세계최대 실내얼음조각광장’ 제작에 하얼빈 빙등제 전문가 그룹이 참여해 최고 수준의 빙설[30] 예술품을 선보이고 있고, ‘산타의 고향’ 핀란드 로바니에미시의 산타우체국은 대한민국 본점을 화천에 마련했다.

화천산천어축제 글로벌 육성축제로 지정(2019.01.01.)

 

11.2.문화적 교류

화천은 2017년 총 7개국 8개 도시와 국제교류협정을 맺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차담캔트시, 중국 하얼빈과 각각 청소년 어학연수 및 겨울축제 네트워크 결성 자매결연[31]을 맺었다.

 

11.3.일사일촌, 자매국가, 자매도시 등

그밖에 우호교류 협정을 맺은 도시는 6개국이며 아래와 같다.
베트남 떠이션현(Tay son) , 미국 애리조나주 투싼시 , 중국 길림성 화룡시
핀란드 로바니에미시 , 콜롬비아 치킹키라시 , 뉴질랜드 타우포
위의 도시들과 문화예술, 체육, 관광, 교육 등의 분야에서 우호교류를 맺어 교류하고 있다.

출처: 화천군청 누리집


 

13.지역의 문화유산

 
종류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 화천 계성리 석등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강원도지정문화재 위라리칠층석탑화천성불사지석불입상화천화음동정사지화천용암리선사유적화천성불사지석장승화천향교,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화천 수력발전소화천 꺼먹다리
 
화천군 문화유산정보

선사시대 유적
선사시대[32] 유적으로 곳곳에서 신석기시대 이후에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찾아진다. 하남면의 위라리에서 1964년에 간돌도끼와 돌공이가 출토[33]되었다. 용암리에서는 선사주거지가 발견되었으며, 간동면 유촌리에는 고인돌이 있었으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산성[34]지로는 간동면 유촌리 용화산에 산성이 있는데, 부족국가시대에 맥국[35]의 왕이 난을 피하기 위해 강돌로 축성[36]한 것이라 한다. 그 밖에 상서면 산양리의 대성산성과 화천읍 하리의 생산성(牲山城)이 있다.

불교문화 유산
현존 사찰[37]로는 법천사(法天寺)·금룡사(金龍寺)·관음사(觀音寺)·대성사·대명사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하남면의 화천계성리석등[38](보물 제496호)과 위라리칠층석탑[39](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0호)이 있다. 원천리의 용봉사지(龍鳳寺址)에는 주춧돌[40]만 남아 있는데, 6·25전쟁 전까지는 13층석탑이 있었으나 공산치하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
그 밖에는 하남면 계성리의 계성사지(啓星寺址), 화천읍 풍산리의 보련암지(普蓮庵址), 동촌리의 운봉사지(雲峯寺址), 간동면 오음리의 오음사지(梧陰寺址)가 있다. 유촌리 성불사지(成佛寺址)에는 화천성불사지석불입상(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5호)·화천성불사지석장승(강원도 민속자료 제5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 유산
유교문화재로는 화천읍 하리의 화천향교[41](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1호), 사내면 삼일리의 화천화음동성사지(華川華陰洞精舍址, 강원도 기념물 제63호)가 있다. 용담리에는 조선시대에 서원[42]이 있었던 터가 있다. 이밖에 화천읍 하리의 칠성루, 사내면 삼일리의 삼일정이 있다.

기념물
신읍리에는 1919년 3월 23일에 화천장날을 이용하여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3·1운동 시위지가 있다. 화천읍 대리리에는 6·25전쟁 당시의 격전지였음을 보여주는 643고지전투전적비(高地戰鬪戰蹟碑)가, 간동면 구만리의 파로호변 정상에는 높이 12m, 너비 6m의 파로호기념비(破虜湖紀念碑)가 있다.
보호수[43]로는 화천읍 동촌리에 수령 300년 된 느티나무, 신읍리에 수령 240년의 물푸레나무, 상서면 봉오리에는 300년 된 서낭당 소나무가 있다. 또한 열목어와 황쏘가리가 희귀어종으로 보호되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화천군 [華川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3.1. 문화유산을 지키려는 노력

#화천 문화유산 수호 #문화유산을 지키려는 노력

화천군,"화천박물관과 함께하는 문화유산답사"(2019.09.19.)
화천군, '남한지역 절터 최초 육각형 건물터...계성리 유적지 3차 발굴 작업'(2020.01.16.)
[화천]전통민요 발전 계승 적극 나서는 화천군의회(2020.11.16.)
화천군, 지역미술인,학생과 '공공미술 프로젝트' 추진(2021.05.10.)


 

14.지역의 옛이야기

14.1. 수로부인과 헌화가

  <작성 중> 

 

14.2. 율곡과 나도밤나무

  
  <작성 중>


 

14.3. 옛이야기 살펴보기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고장별로 더 많은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15.지역의 역사적 인물

송란  조선 선조 때의 효자. 그의 충효를 크게 칭찬하여 '통훈대부공조좌랑'의 벼슬을 하사[44] 받음
김수증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성리학자. 화천 사내면에 '곡운정사'를 짓고 제자를 양성함. '곡운구곡'의 창시자 
한암 스님 한국의 고승으로 조계종의 초대 종정[45]을 지냄
이태극 해방 이후 시조 전문지 『시조문학』을 창간한 시인. 시조시인


 

16.지역의 교육기관

16.1.화천군의 초등학교

화천군에는 13개의 초등학교가 있다.(기준)

화천초등학교 오음초등학교 다목초등학교 원천초등학교 광덕초등학교
풍산초등학교 산양초등학교 봉오초등학교 사내초등학교 실내초등학교
유촌초등학교 상승초등학교 용암초등학교
 

16.2.화천군의 중학교

화천군에는 4개의 중학교가 있다.

화천중학교 사내중학교
간동중학교 상서중학교
 

16.3.화천군의 고등학교

화천군에는 4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화천고등학교 간동고등학교
사내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17.기타

 

Footnotes

  1. ^ 형체로는 분명히 나타나 있지 않은 것을 어떤 방법이나 매체를 통하여 구체적이고 명확한 형상으로 나타냄
  2. ^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에 비기어 표현함
  3. ^ 산은 자줏빛이고 물은 곱다는 뜻으로, 경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4. ^ 어떤 사물을 특징지어 두드러지게 함
  5. ^ 물로 미역을 감음
  6. ^ 상업상의 세력이 미치는 범위
  7. ^ 사람의 의도적인 행위 없이 저절로 부는 바람으로 물기나 습기가 말라서 없어짐
  8. ^ 쌀, 보리, 밀 따위의 곡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9. ^ 깊은 산속의 으슥한 골짜기
  10. ^ 알맞은 영양소를 공급하여, 가축이나 짐승이 건강하게 잘 자라고, 생산을 잘하도록 하는 일
  11. ^ 비석, 기와, 기물 따위에 새겨진 글씨나 무늬를 종이에 그대로 떠냄. 또는 그렇게 떠낸 종이
  12. ^ 국제 자연 보호 연맹에서 가까운 미래에 멸종 위험이 높은 희귀종으로 지정한 야생 생물
  13. ^ 한 분야의 밑바탕을 이루는 부분
  14. ^ 고려 말기부터 발달하여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6구 4음보의 기본 형태를 지님
  15. ^ 문인(文人)들의 사회
  16. ^ 산과 숲, 또는 산에 있는 숲
  17. ^ 가르쳐서 유능한 사람을 길러 냄
  18. ^ 끼니로 먹을 음식 따위를 만드는 일을 하는 곳. 곧, 큰 규모의 부엌을 이른다
  19. ^ 군인을 훈련하기 위하여 병영 내에 마련한 운동장
  20. ^ 병영 안에서 사병들이 내무 생활을 하는 조직의 단위. 또는 그들이 기거하는 방.
  21. ^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세우는 탑
  22. ^ 학생 신분으로 군대에 들어간 병사. 또는 그 군대.
  23. ^ 강원도 화천군 일대의 옛 이름. 고구려 때에는 ‘생천군’이라 하였고, 신라 때에는 ‘낭천군’이라 하였다
  24. ^ 통나무를 쪼개어 속을 파서 만든 작은 배
  25. ^ 교전국 쌍방이 협정에 따라 군사 시설이나 인원을 배치하지 않은 지대
  26. ^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7. ^ 잃었던 땅이나 권리 따위를 되찾음
  28. ^ 산신령에게 드리는 제사.
  29. ^ 문화나 사상 따위가 서로 통함
  30. ^ 얼음과 눈을 아울러 이르는 말
  31. ^ 한 지역이나 단체가 다른 지역이나 단체와 서로 돕거나 교류하기 위하여 친선 관계를 맺는 일
  32. ^ 문헌 사료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시대. 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이른다
  33. ^ 땅속에 묻혀 있던 물건이 밖으로 나옴. 또는 그것을 파냄
  34. ^ 산 위에 쌓은 성
  35. ^ 강원도 춘천 지방에 있던 고대 국가. 예(濊) ·한(韓)과 더불어 우리 민족의 주구성체(主構成體)로, 김부식은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地理志)>에서 가탐(賈耽)이 쓴 《고금군국지(古今郡國誌)》를 인용하여 그 지역이 춘천임을 밝히고 있다. 춘천지역에는 맥국 관계의 지명(地名)과 전설이 많이 전해지고 있다
  36. ^ 성을 쌓음
  37. ^ 승려가 불상을 모시고 불도(佛道)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집
  38. ^ 돌로 네모지게 만든 등
  39. ^ 석재를 이용하여 쌓은 탑.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층을 구분하여 쌓았다.
  40. ^ 기둥 밑에 기초로 받쳐 놓은 돌
  41. ^ 고려ㆍ조선 시대에, 지방에 있던 문묘(文廟)와 그에 속한 관립(官立) 학교. 중앙의 사부 학당과 같은 역할을 하였으며, 조선 중기 이후 서원(書院)이 발달하자 기능이 약화되었다.
  42. ^ 조선 시대에, 선비가 모여서 학문을 강론하고, 석학이나 충절로 죽은 사람을 제사 지내던 곳.
  43. ^ 풍치 보존과 학술의 참고 및 그 번식을 위하여 보호하는 나무
  44. ^ 임금이 신하에게, 또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물건을 줌
  45. ^ 우리나라 불교의 최고 통할자로, 총본산의 우두머리

토론댓글을 입력하세요.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