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

                                                                                                                                                                                                                                                           

1.개요

중기 여류 예술가이며,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다.

▶별칭 : 사임당, 인임당, 임사재
▶성별 : 여
▶시대 : 조선 중기
▶출생~사망 : 1504년 ~ 1551년
▶출생지 : 강원도 강릉
▶본관 : 평산(平山)
▶주요업적 : 자리도, 산수도, 초충도, 노안도

2.생애

외가인 강릉 북평촌(北坪村)에서 태어나 자랐다.
아버지 신명화는 신사임당이 13세 때인 1516년(중종 11)에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는 나가지 않았다.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이었으나 1519년의 기묘사화의 참화는 면하였다. 외할아버지 이사온이 어머니를 아들잡이로 여겨 출가 후에도 계속 친정에 머물러 살도록 하였다.
이에 신사임당도 외가에서 생활하면서 어머니에게 여범(女範)과 더불어 학문을 배워 부덕(婦德)과 교양을 갖춘 현부로 자라났다. 서울에서 주로 생활하는 아버지와는 16년간 떨어져 살았고, 가끔 강릉에 들를 때만 만날 수 있었다. 19세에 덕수 이씨(德水李氏) 이원수(李元秀)와 결혼하였다. 신사임당은 그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아들 없는 친정의 아들잡이였으므로 남편의 동의를 얻어 시집에 가지 않고 친정에 머물렀다.
결혼 몇 달 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 친정에서 3년상을 마치고 서울로 올라갔다. 시집의 터전인 파주 율곡리에 기거하기도 하였고,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백옥포리에서도 여러 해 살았다. 이따금 친정에 가서 홀로 사는 어머니와 같이 지내기도 했으며, 셋째 아들 이이도 강릉에서 낳았다.
1541년(중종 36) 38세에 시집 살림을 주관하기 위해 아주 서울로 떠나왔으며, 수진방(壽進坊: 지금의 종로구 壽松洞과 淸進洞)에서 살다가 1551년(명종 6) 봄에 48세에 삼청동으로 이사하였다. 이 해 여름 남편이 수운판관(水運判官)이 되어 아들들과 함께 평안도에 갔을 때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3.업적

  • 시문으로는 <유대관령망친정(踰大關領望親정)>,<사친(思親)>등의 한시가 전해지고 있으며, 그림으로는 산수, 포도, 풀, 벌레 등을 그려 여성의 섬세함을 잘 표현하였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자리도>, <산수도>, <초충도>, <리안도>, <연로도> 등이 전해지고 있다.
  • 자녀 교육에도 남다른 애정을 베풀어 율곡이이와 같은 성현을 배출하게 되었다.

토론댓글을 입력하세요.

각주